네이트온 패킷 통신 네이트온 패킷 통신 네이트온은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텍스트 기반이다. 예를 들어, 네이트온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핑퐁 데이터 역시 텍스트이다. 네이트온 클라이언트는 주기적으로 서버에 핑을 보내고 응답을 받아 접속 상태를 확인한다. 클라이언트 -> 'PING 31' -> 서버 클라이언트는 서버게에게 'PING 31'이라는 문자열로 핑 메시지를 보낸다. 서버 -> 'PING 0' -> 클라이언트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핑 패킷을 받고 'PING 0' 값으로 확인 패킷을 보낸다. 여기서 실제 TCP 데이터는 'PING 0\r\n' 이다. 모든 네이트온 패킷(TCP 데이터)은 '\r\n' '0x0D 0x0A' 로 끝난다. 기타 네이트온 패킷 태크들 'ALRM 0 MAIL ..... 더보기 알게모르게(Alge Morge) v0.3b WinPcap 깔아야 돌아간다는 것 http://www.WinPcap.org 제출하고 나니 소스정리도 귀찮군. 일단 좀 쉬고... 더보기 포인터 변수에 const 사용 * 앞 부분에 const 사용 const int * p = new int (3); //또는 int const * p = new int (3); *p = 3 // invalid - 값 변경 불가 int * t = p // invalid - const가 아닌 포인터에 대입 불가 * 뒷 부분에 const 사용 int * const p = new int (3); *p = 3 // valid - 값 변경 가능 p = new int (5); // valid - 처음 할당된 포인터값(주소) 변경 불가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